
1. 중용
1.1. 도덕적인 덕이 정확하고 좋은 것이 되려면 필요함,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중간
1.1.1. 중용의 표 참조
2. 도덕적인 덕
2.1. 따로 정리함
3. 지적인 덕 : 긍정과 부정을 통해 정신이 진리를 얻도록 하는 것
3.1. 학문적 인식
3.1.1.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것들에 관한 이해
3.1.2. 모든 학문은 가르치고 배울 수 있다
3.1.3. 논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
3.2. 기술
3.2.1. 참된 이치에 따라 제작할 수 있는 상태
3.2.2. 행동과는 관계가 없다
3.3. 실천적 지혜
3.3.1. 일반적으로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가진 것
3.3.2. 인간에게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, 참된 이치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상태
3.3.3. 보편적인 것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것과도 관련
3.3.4. 철학적 지혜를 위해 봉사함
3.4. 이성
3.4.1. 학문적 인식의 근본 명제 자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것
3.5. 철학적 지혜
3.5.1. 모든 학문적 인식 가운데 가장 완성형
3.5.2. 이성 + 학문적 인식
3.5.3. 가장 고귀한 것들을 이성적으로 파악하는 학문적 인식
3.5.4. 실천적 지혜와 도덕적인 덕을 모두 실천해야 이룰 수 있는 법
4. 이해력
5. 판단력
6. 실천적 지혜 없이는 좋은 사람이 될 수 없다.
7. 도덕적 덕이 없이는 실천적 지혜가 있는 사람이 될 수 없다.
8. 덕과 실천적 지혜가 없으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없다
9. 행복
9.1. 인간이 지닌 기능
9.1.1. 생명의 기능
9.1.1.1. 식물도 가짐
9.1.2. 감각과 운동의 기능
9.1.2.1. 동물도 가짐
9.1.3. 정신의 이성적 활동 기능
9.1.3.1.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기능 덕을 가지고 수행할 때 선을 이룰 수 있다
9.2. 어떻게 얻을 수 있나
9.2.1. 행복은 덕이 있는 정신의 활동이므로 완전한 덕을 실천해야 얻을 수 있다 참으로 선하고 나무랄 데 없이 곧으면 행복하다
9.3. 최고의 선(善)
9.3.1. 행복은 모든 사람이 삶에서 추구하는 것 가운데 가장 좋은 것, 확실하게 궁극적인 목적, 자족(自足)적
9.3.1.1. 부유함
9.3.1.1.1. 이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어 최고의 선이라 할 수 없다
9.3.1.2. 건강함
9.3.1.3. 향락적인 삶
9.3.1.3.1. 동물적인 생활로 최고의 선이라 할 수 없다
9.3.1.4. 명예로운 삶
9.3.1.4.1. 정치적 생활을 추구하며 최고의 선이라 할 수 없다
9.3.1.5. 관조적인 삶
9.3.1.5.1. 명상하고 깊이 생각하는 삶
9.4. 덕
9.4.1. 정신적인 덕 : 행복은 완전한 덕의 정신의 활동 마땅히 지켜야 하는 규범
9.4.1.1. 지적인 덕
9.4.1.1.1. 교육을 통해 생김
9.4.1.2. 도덕적인 덕
9.4.1.2.1. 습관을 통해 생김